요즘 초저금리 시대라고 해서 예금이나 적금 들면 바보라고 합니다. 이 예금이나 적금을 주식이나 펀드에 투자하는 게 훨씬 더 수익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몇 년 전만 하더라도 2~3%대의 금리를 주는 곳이 있었는데 지금은 이 금리가 꿈의 금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장 돈나갈데가 있고 그래서 현금 보유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자유롭게 입출금 할 수 있는 예금통장은 필수입니다. 예금통장은 그런데 거의 금리가 0%대에 가깝죠.
하지만 잘 살펴보면 예금통장보다 훨씬더 높은 금리를 주면서도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파킹 통장 상품들이 있습니다. 한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킹 통장이란?
우리가 주차하는 것을 영어로 파킹이라고 하죠? 주차를 하듯이 자유롭게 잠깐 넣어놨다가도, 그리고 비교적 거치기간이 짧다고 하더라도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통장이 바로 파킹 통장입니다.
당장 현금이 있는데 어디에 투자할지는 모르겠고, 그렇다고 0%대의 예금통장에 넣어두는 건 아쉬운 분들이 선택하기가 정말 좋습니다.
보통 이러한 파킹 통장은 보통 시중에 유명한 은행보다는 SBI 저축은행이나, 카카오 뱅크 같은 인터넷은행에서 괜찮은 상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게다가 가장 좋은 것은 예금자 보호 최대 5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증권사에서 종합자산관리계좌인 CMA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사람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금융사의 파킹 통장이 얼마만큼의 금리를 줄까요? 금리는 수시로 변동되지만 현시점 기준으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상상인 저축은행 : 뱅뱅뱅 파킹통장 369 정기예금
금리 : 연 1.6%
예치기간에 따라서 3개월 이상은 연 1.7% 6개월 이상은 1.8%, 9개월 이상이라고 하면 연 1.9%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하루만 맡겨도 1.6%의 금리를 주고 9개월 이상 맡기면 2% 가까이 주니 굉장히 좋은 혜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개월 이상, 6개월 이상, 9개월 이상에 따라 금리를 차등으로 주기에 이름이 369 정기예금인 것 같습니다.
OK저축은행 : OK대박 통장
금리 : 연 1.5%
가입기간이나 가입금액에 제한이 없는 상품입니다. 많은 파킹 통장들이 금액 제한을 걸어두었는데, 이게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기본금리는 1.4% 이지만 우대조건으로 은행에서 제공하는 오픈뱅킹에 등록하면 0.1%의 우대금리를 적용해준다고 합니다.
웰컴 저축은행 : 웰컴 직장인 사랑 보통예금
금리 : 연 2%
1000만 원 이상시에는 금리가 연 1%로 줄어들게 됩니다. 1000만원미만까지 수백만원의 현금이 있다고 한다면 해당 통장을 이용하면 가장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 만약에 1000만원 이상이라고 한다면 바로 아래의 파킹 통장을 개설하는 게 더 좋겠습니다.
웰컴 저축은행 : 비대면 플러스 보통예금
금리 : 연 1.8%
같은 웰컴 저축은행에서 운용하는 비대면 플러스 보통예금은 3000만 원 미만까지 1.8%의 금리를 줍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1000만 원이 넘어간다면 여기에 넣어놓는 게 더 이득이겠습니다.
SBI저축은행 : SBI 사이다 입출금통장
금리 : 연 1.2%
사이다 뱅크에서 하고 있는 자유통장입니다. 전월 실적이나 자동이체 우대금리 조건 없고 입금한도도 제한이 없습니다. 각종 계좌 연결로 네이버 페이나 카카오페이 같은 간편 송금 결재도 가능합니다. 예전에는 꽤 높아던 것 같은데 금리가 많이 낮아진 것 같네요.
파킹 통장을 가입하기 전에 꿀팁
각각의 금융사마다 자신들의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해서 각종 할인 혜택과 금리 우대혜택을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이벤트 금리라고 하죠?
이런 이벤트 기간을 노려서 가입을 하게 된다면 평소보다 더 높은 금리와 좋은 조건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수시로 이러한 금융기관들의 이벤트를 확인해주는 게 좋겠습니다.
여기에 각각의 우대금리 조건들을 살펴봐서 내가 해당이 된다고 한다면 우대금리를 신청해서 받으시면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
요즘 같은 저금리시기에 한 푼이라도 더 주는 파킹 통장을 찾고 계신 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금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a통장 금리비교 어디가 많이주나 (0) | 2021.05.12 |
---|---|
복리후생이란? (0) | 2021.04.16 |
집에서 할 수 있는 부업 5가지 (0) | 2021.04.15 |
인플레이션 시대의 투자 방법 (0) | 2021.04.15 |
개인회생 면책후 신용회복 방법 (0) | 2021.04.14 |